논문검색

pISSN : 2384-4450

한국범죄정보연구, Vol.6 no.2 (2020)
pp.63~79

DOI : 10.33563/KSCIA.2020.6.2.4

전문대학교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중심으로

노상은

(오산대학교 실용사회복지과 조교수)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교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3개 전문대학(K대, O대, J대)에 재학 중 대학생들을 250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2020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상관관계분석에서 학습몰입은 과제난이도선호, 스마트폰중독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인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스마 트폰중독의 관계에서 과제난이도선호는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기조절효능감와 자신감은 2단계에서 스마트폰중독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A Study on the Harmful Effect of Mobile Phone Addiction on Learning Commitment of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Self-efficacy Mediating Effect

Roh, Sang-Eu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Mobile phone addiction on learning commitment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colleg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ree junior colleges in Gyeonggi-do (K, O, J).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st to August 31st,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1.0 program. The analysis result was as follows. First,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o verify whether college students' Mobile phone addiction has an effect on learning commitment, learning commitment has a positive (+) positive correlation with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Mobile phone addic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and Mobile phone addiction, it was found that task difficulty preference had a mediating effect. However, self-regulation efficacy and confid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with Mobile phone addiction in the second stage.

Download PDF list